예술/영상이론 (2) 썸네일형 리스트형 프리미어프로 Export관련 프리미어 프로에서 파일->엑스포트 쪽에 가면Bitrate Encoding이 있는데 VBR, 1pass와 CBR이 있는데-> CBR은 고정 비율(근데 어느 구간에는 많은 비트가 필요하고 어느 구간에는 적게 필요할때가 있는데 안맞으면 끊기는 현상이 발생)-> 그래서 VBR을 쓰는게 좋다. -> VBR 1 Pass와 VBR 2 Pass가 있는데. 확인을 1번 하냐 2번 하냐 하는데 2번하면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1번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 유튜브에서 렌더링 참고 비트 레이트 https://support.google.com/youtube/answer/1722171?hl=ko#zippy=%2C비트-전송률 YouTube 권장 업로드 인코딩 설정 - YouTube 고객센터도움이 되었나요? 어떻게 하면 .. 영상이론 프레임 => 영상의 fps와 편집의 '시퀀스'설정이 동일하지 않으면 싱크가 맞지 않아 밀림 현상이 생길 수도 있다. 촬영 때 부터 fps를 체크하고 촬영하는 것이 좋음 시퀀스(중요)=> 사람이 그림을 그릴 때에는 도화지가 필요함. 도화지의 크기에 따라 그림의 크기가 달라지게 된다. 영상을 제작할 때에도 마찬가지로 도화지가 필요. 이를 '시퀀스'라고 한다. 인간이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시퀀스에 영상들을 삽입하고 음악을 넣고 색상을 조절하며 자막도 추가하여 영상을 완성한다. 영상 목적에 맞는 프레임 추천=> 24 프레임 -> 영화, 일본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에서 많이 사용. 영화적인 느낌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프레임이고 영화관에서 영화로 방영하기 위한 전환 작업을 좋게 하기 위한 선택=> 30.. 이전 1 다음